차라리 에버노트로 동기화하던 시절이 나았던 것 같은데...
안되기 시작하니까 신경쓰여서 미치겠다. 운영을 접었나? 망했나? 별 생각이 다 든다.
여긴 사용자 문의 메일도 없고 무슨 관리하는게 없네. 그린몬스터 회사가 존재하긴 하는지 의문이 들 정도.
하긴 스타트업 서너명이 회사 꾸려 나간다면 고객관리 차라리 안하는게 현명할지도...
폰 따로 웹 따로 데이터가 분리되더니 이제 폰에서 동기화가 영원한 시간동안 돌아간다.
서너번 지웠다 다시 까니 이제 로그인도 안되고 PC에서도 안들어가진다.
설마 나만 이런건가?...사용자가 적은 앱이라 어디 커뮤니티도 없고 물어볼 데도 없네.
LTE FDD, TDD 개요 / TD-LTE에 대한 오해와 진실 [출처] LTE FDD, TDD 개요 / TD-LTE에 대한 오해와 진실|작성자 초코버리
http://blog.naver.com/PostView.nhn?blogId=johnlee08&logNo=166405782
Packet Scheduling
11/11
p.21
UE1 is close
UE2 is far
Fair Throughput
Fair Time
-> Channel Condition을 고려하지 않았다 (fluctuation 하는데...)
SINR = C/I
p.23
Channel-aware 스케줄러가 있다: 채널 피드백이 필요하다
Max scheduler는 Fairness를 보장하지 않는다
p.24
PF Scheduling
p.28
CDRX
p.29
Semi Persistent Scheduling (SPS)
eNodeB는 이니셜 블럭을 준다
유저는 리소스 블럭을 priodically 하게 받는다
p.6
Inter-cell Interference (ICIC)
Cell Interior User is fine
Cell boundary User is not fine
UE3은 신호상태가 좋지만 UE1,2는 간섭 문제가 심각하다.
SINR이 쎄다
솔루션1
셀 엣지에는 exclusive 주파수를 갖게하고 중심부는 같은걸로 함
(fractional frequency reuse / selective frequency reuse)
혹은 중심부 파워를 낮추고 주위를 높임
(selective power reuse)
----
11/6
p.21 스케쥴링
fairness도 중요해
p.22
스펙트럼 효율과 공평성을 동시에 만족해야되
p.23
채널-언어웨어
FIFO, 라운드 로빈, 블라인드 이퀄 쓰루풋, 맥스-민 스케줄러
채널-어웨어 스케줄링
UE1니 UE2보다 항상 better condition일 때를 생각해야 됨 (Propotional fair sceduling)
프로젝트로 해야된다! 알고리즘은 간단하다.
p.25
중간고사
LTE overview
퀄넷에서 LTE 관련된서 설치해보고...
download LTE open source
p.4
p.5
PDCP RLC MAC (L2)
RRC (L3) control plane / no user plane
p.7
Physical Downlink Shared CH: 리얼 데이터
Physical Downlink Control CH: 콘트롤 데이터
PDSCH
PDCCH
p.15
RB는 단위
----
9주차 #2
p.4
Dynamic Resource Allocator
p.5
Control Plane 5 layers
User Plane 4 layers
p.6
SDU (Service Data Unit)
PDU (Protocol Data Unit)
헤더가 붙으면 PDU 아니면 SDU (PDCP 그림에 나오는 [H]는 아마 윗단계에 보이는 헤더일 것)
p.7fine
트랜스포트 채널
1 user 만 assigned data 를 받을 수 있다.
p.8
업링크 채널
Random Access CH
Pysical Uplink
p.9
HARQ vs ARQ
보통 ARQ는 많은 통신 시스템에 쓰임
보통 ARQ 시나리오: NAK (Negative ACK)오거나 안오면 재전송(Retransmission) ACK 돌아오면 굳
Hybrid ARQ 시나리오: P1A를 보내서 NAK오거나 안오면 P1B를 보냄 P1B를 받은 쪽은 P1A랑 합성요
p.10
UE->NB->RNC 2 hop
UE->eNB 1 hop
p.10.5
user plane 이라서 RRC는 없엉 (control plane 에만 있음)
Retransmission 에는 한계치가 있음 (보통 8번 안받으면 끝)
p.11
UM: 리트랜스미션 없엉. 멀티캐스트에도 리트랜스미션은 없다
AM:
TM
p.14
디코딩 확률이 올라갑니다 (HARQ)
p.15
무선 리소스는 프리퀀시-타임 도메인 안에 있음
1 Resource Block = 180 kHz * 0.5 ms (s 아님 타이포)
1 subframe = 2 slot
LTE frame = 10 frame or 20 slot
p.16
7 symbol = slot
14 symbol = subframe
이 그림은 2 resource block 이다.
퍼런거 PDSCH
노란서 PDCCH
p.18
Addaptive Modulation Coding
SINR에 의해 결정된다. (Signal to Interference plus Noise Ratio)
coding rate
1/5 는 5번 재전송하는거 (에러날 수 있으니까)
Broadcasting 에는 worst case가 쓰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