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2

LTE 아키텍처

L2, L3 모바일리티 이슈

802.11 에는 이슈가 별로 없다.

모바일리티 모델


p.4

2G GSM

네트워크 아키텍처는 매우 쉽다. BS 하나가 1셀 에어리어를 커버함. (육각형 모델)

이건 올드 아키텍처고 서킷 스위칭 시스템.


p.5

3G WCDMA - UTRAN

UE - UTRAN - CN

노드 B가 BS를 의미한다.

RNC는 Radio Network COntroller

L2에서 리트랜스미션 할려면 RNC에서 하고 Node B는 그냥 전송할 뿐.

CN(Core Network)는 안심플하다.

MSC, GMSC는 CS(서킷 스위칭)위한 것


p.6

LTE Network Architecture

eNodeB 이것이 BS의 이름 -> RNC와 Node B가 컴바인됨

많은 기능들(functionalities)이 여기서 수행된다.

MME

S-GW (S게이트웨이)


p.7

Flat Architecture

포인트는 "FLAT"

하나의 RNC가 여러개의 NodeB


p.8

S-GW: 모든 유저의 IP 패킷이 이것을 통한다.

P-GW: All IP 기반인데 여기서 부여(?)


p.9

MME: 로케이션 매니지먼트

PCRF: 차지, 페이먼트, 폴리시, 레지스터된 유저인가 등등


p.10

E-UTRAN = "E"volved UTRAN

EPC = Evolved Packet Core

Bearer는 연결을 의미한다.


p.11

컨트롤 플레인과 유저 플레인이 있다.

Control Plane Protocol Stack

컨트롤 플레인에는 SCTP가 있네

NAS, RRC가 있네 (컨트롤 온리)


p.12

RRC: 페이징, 라디오 베어러 컨트롤, 데이터 트랜스미션이 아니고 걍 컨트롤 메시지다.

NAS: 인증, 시큐리티 컨트롤 등 상위 것들 둘다 데이터랑은 관련이 없네


p.13

그래서 여기선 빠짐.

유저 플레인에는 UDP가 있네


p.14

X2 인터페이스

꺄웅...


p.16

2G, 3G 시스템은 LTE 시스템에 컴바인 될 수 있다.


p.19

AAA 는 모든 서비스 프로바이더에게 중요!


p.20

Home Node B (HeNB = Femtocell의 정식명칭)


p.21

HetNet

Heterogeneous Network

여러 종류의 셀들이 혼재되어 운영되는 네트워크이다.

LTE Advanced에 있고 LTE에 없음.

다른 스펙트럼 밴드를 사용하면 코스트가 크고 (스펙트럼을 많이 소모하니까)

같은거 사용하면 인터피어런스가 잘 발생하니 문제.


p.22

릴레이

backhaul 링크

타입 1 릴레이: 동일 캐리어 프리퀀시 (인밴드)

타입 1a 릴레이: 다른 캐리어 프리퀀시 (아웃밴드)


p.27

MTC = 머신 타입 커뮤니케이션

M2M (머신 투 머신) 의미한다.


p.28

CoMP

빔포밍을 통해 협조할 수 있음


HetNet과 InterRAT(Inter Radio Access Technology)을 기억해두자

차이점은? HetNet은 같은 서비스 프로바이더 (뭔 셀이던지)

InterRAT은 LTE와 와이파이 하는 식으로 다른 네트워크끼리



Posted by Maverick Unlimi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