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15
WLAN
* IEEE 802.11 = WLAN = 와이파이 (!)
* multi PHY(피지컬 레이어), one MAC(맥 레이어 = 네트워크 레이어)
* 2.4GHz, 5GHz를 쓰는 이유? unlicensed band 이기 때문. ISM (영문위키; 한글위키는 정보가 하나도 없네)
- 000MHz 도 있지만 900대는 너무 좁아서 와이파이는 안씀.
* 11g는 11a와 거의 같지만 주파수 밴드 대역만 2.4GHz
Spectral efficience
* 0.2 ~ 2.0 bps/Hz 로 계산해서, 802.11b의 range of data rate = 1 ~ 10 Mbps
DS(Direct Spreading) : DSSS, DS-SS 라는 것과 관련있는 듯
OFDM(Orthogonal frequency-division multiplexing): Enhanced DS
MIMO(multiple-input and multiple-output): 스마트 안테나 기술
MU(multi user MIMO): 이하동문
p.16
IEEE 802.11 Family
* 독립적이지 않고 결합된 경우임
* VANET(vehicular ad hoc network) = vihicle support
* mesh network: 애드혹의 일종. 라우터를 replace 한다. (뭔 소린지 잘 모르겠음)
* 802.11ad: 5m 정도 밖에 안감 (60GHz) 홈시어터 등 방 안에서 무선통신할 때 씀.
p.19
carrier sence
* spectrum is carrier. 모든 디바이스가 busy or not인지 체크
* collision avoid 위해 generate random number 하고 그만큼 wait 후 transmission.
- 만약 collision 발생하면 윈도우를 double!
p.25~26
IEEE 802.15.4 PHY
* 와이파이와 Zigbee 충돌하면 transmission power가 와이파이가 더 강하므로 survive. 혹은 양자공멸.
* 주로 25, 26 채널 이용.
p.32
Cell Classification
* Femtocell은 집에 설치에서 와이파이처럼 사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