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표
* 다양한 종류의 무선 네트워크를 스펙트럼 이슈와 함께 이해
* 다양한 무선 자원 관리 테크닉
* 최신 연구 이슈 서베이
4주마다 퀴즈 5주마다 프로젝트 ㅠㅠ
페이퍼 준비 (MobiCom2012, 2013, Mobisys 2012) 25분간 프리젠테이션
2주차 팀 구성 5, 10, 15주차 프로젝트
시험 70% 세미나 10% 프로젝트 20%
무선 vs 유선
* 무선 (적외선) 전파
- 반사, 굴절, 회절
- 섀도잉, 페이딩, 멀티패스
* 시가변적 채널
- 동적 채널 용량, 시가변적 혼선
- 장소 의존 & 시가변적 에러: 채널 코딩, 소스 코딩, 모듈레이션
* 좁은 대역폭
- 한정적 무선 주파수: 부족한 무선 자원
- 셀룰러 컨셉
* 브로드캐스팅
- 미디어 공유
- 덜 안전
무선 vs 모바일 (무선 != 모바일)
* 무선 시스템들 (Nomadic systems): 와이파이, 블루투스, Zigbee, Fixed WiMAX
* 모바일 무선 시스템들: 셀룰러 시스템(2G, 3G), 와이브로, 모바일 WiMAX
다양한 무선 네트워크
* Wireless Personal Area Network (WPAN)
– IEEE 802.15/Bluetooth/ZigBee (~10m)
* Wireless Local Area Network (WLAN)
– IEEE 802.11 (~200m)
* Wireless Metropolitan Area Network (WMAN)
– WiMAX/IEEE 802.16 (~5Km)
* Wireless Wide Area Network (WWAN)
– 2G Cellular (~15Km), 3G (~5Km)
* Wireless Regional Area Network (WRAN)
– IEEE 802.22 (33~100Km)
시설 vs 애드혹
* 시설 기반 무선 네트워크
- 무선과 (유선)백본 사시의 장비인 억세스 포인트(AP; Access Point)나 기지국(BS; Base Station)에 접속
- 성형(Star) 토폴로지, 핸드오프 서포트
- 주파수 재사용과 셀 설계 필요
- 셀룰러 시스템, 전형적 802.11 WLANs, ...
* 애드혹 네트워크
- 무선 다중 반사 전파(Wireless multi-hop transmission)
- P2P 토폴로지
- 802.11 애드혹 모드, 블루투스, ...
계층 네트워크 구조
* PHY와 MAC
- 각각 무선 시스템에 의해 정의됨
* 상위 계층 프로토콜
- 대부분 이미 정의된걸 재사용 (ex: TCP, IP, PPP)
- 무선 인식(Wireless-aware) 프로토콜: 모바일 IP, 프록시 TCP, 애드혹 라우팅
* 2G/3G 시스템
- 무선 네트워크 내에서 그들 각자의 네트워크/트랜스포트 프로토콜을 정의
* 시큐리티
- PHY와 MAC 위에 새로운 프로토콜들이 더해짐
표준 그룹들
* IEEE 무선 표준
- 실무단(Working group)들이 PHY/MAC과 그 이외의 것들을 정의
* 802.11 WLAN WG
* 802.15 WPAN WG
* 802.16 WMAN WG (WiMAX Forum defines network functions and service)
* 802.22 WRAN WG
* 802.21 WG: Media independent handoff
– Tech. Advisory Group (TAGs)
* 802.18 Radio Regulatory TAG
* 802.19 Co-existence TAG
* 3GPP와 3GPP2 정의
- ?
- 상위 계층 기능들(링크 레이어, 모바일리티)을 그 네트워크에 포함
- 네트워크 아키텍처/서비스/어플리케이션
* ITU-R 정의
- 표준 시스템 요구사항
- 전파 관리
* IETF RFC 정의
- TCP/IP(모바일 IP)와 상위 계층 프로토콜
정리 : 딱히 없고 그냥 외우면 될 듯. 섀도잉 페이딩 멀티패스 정의에 대해서는 한번 찾아보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