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부/Computer Network2013. 3. 20. 22:57

디바이스간 정보 교환의 복잡성, 시스템간 의사소통을 위해 높은 수준의 협동이 필요 -> 전부 프로토콜로 통한다.

A protocol defines format / order / action.

프로토콜 아키텍처는 컴퓨터 간의 정보 교환을 지원하는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의 (계층화된) 구조이다.


계층 구조 (OSI Model) : 수직적 스택으로 구성. 양 시스템에 동일한 계층이 있어야함. 따로 정리가 필요한지?

OSI Reference model : ISO 개발. 7 Layers. 이론적. [APSTNDP] APple 애플이 STaNDard 표준이다. Phsically. OK?

TCP/IP protocol suite : de facto(사실상) 표준. [ATINP] ATI NoPe! GeForce Good.


Network Interface에 SLIP, PPP, LAN/WLAN/WAN 하드웨어 드라이버들이 있고 / 사이에 ARP, RARP 있고

Internet에 IP(NAT, IPSec), IP Support(ICMP, ND), IP Routing(RIP, OSPF, BGP 등등) 같은게 있고

Transport에 UDP TCP SCTP DCCP 있고

Application에 DNS NFS BOOTP DHCP SNMP RMON FTP TFTP HTTP Gopher Telnet IRC 등등...


프레임헤더/IP 헤더/TCP UDP 헤더/어플리케이션 데이터

ATM(Asynchronous Transfer Mode, 비동기 전송방식) vs Ethernet


계층구조의 장점 : 복잡성 감소, 다른 계층 변화없이 새로운 특징을 도입가능, 하드웨어/소프트웨어 벤더간에 상호운용성 보장, 트러블슈팅 간소화.


크로스-레이어 디자인

- 주 고려사항 : 무선 연결 위에서 불균질한 트래픽을 어떻게 효율적으로 전송할 것인가? (존재하는 계층 네트워크 프로토콜은 케이블로 연결된 네트워크를 위해 개발되었다)

- 무선 채널의 물리적 한계 : fading(전파 강도 변화), multipath(다중통로), interference(간섭), mobility(유동성) 등등

- 크로스-레이어 디자인은 네트워크 프로토콜 스택의 유연성과 융통성이 있는 연결에 관하여 중요한 부분이다.

- 오해 : 프로토콜 레이어를 없애거나 합치는게 아니다. 인접한 레이어들을 병합해 '수퍼 레이어'로 한다.

- 데이터 교환을 원하는 어떠한 프로토콜 스택으로도 데이터 송수신이 가능 (ex: 응용 계층은 링크 계층에서 주어진 전송 경로나 네트워크 상태에 따라 전송률, power, 코딩 방법 등을 바꿀 수 있다)

- 제안 : 직접 통신, 공유 데이터베이스, 새로운 개념 (계층들 외부에 존재)


다이나믹 어댑터블 프로토콜 : 무선 급증-> 다중 표준, 프로토콜 스탱을 지원해야한다. 적응성이 핵심 기술.

RBA(Role-based Architecture) : 비계층 아키텍처. 패킷 헤더는 변동적 사이즈의 컨테이너로 교체.



Posted by Maverick Unlimited